의료 지식 나눔방/PM이 알려주는 제약 상식

오리지널, 개량신약, 제네릭 완전 정리

맘따랑 2025. 5. 20. 14:53
반응형

 

병원에서 같은 증상으로 약을 처방받았는데, 약국에서 받은 약 이름이 다를 때가 있습니다.
혹은 같은 성분이라고 들었는데 가격이 절반도 안 되는 약도 있죠.

 

이런 경험은 처음 제약업에 발을 들이거나 의료 현장에 입문한 분들에게 꽤 혼란스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의약품은 개발 방식, 권리 보호, 활용 목적에 따라 ‘오리지널’, ‘개량신약’, ‘제네릭’이라는 이름으로 구분됩니다.

 

 

이 구분은 단순한 이름 차이가 아니라, 약의 개발 역사와 가치, 가격의 이유를 모두 담고 있는 기준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약이 어떻게 탄생하고, 어떤 기준으로 분류되는지,

그 안에 담긴 산업적·임상적 의미까지 하나하나 자세히 풀어보려합니다.

 

💊 오리지널, 개량신약, 제네릭 의약품의 차이점과 특징

 

의약품은 개발 방식과 특성에 따라 크게 오리지널 의약품, 개량신약, 제네릭 의약품으로 나뉩니다.

각각의 의약품은 개발 과정, 효능, 가격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환자와 의료진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1️⃣ 오리지널 의약품 (Original Drug)

오리지널 의약품은 새로운 유효 성분을 기반으로 최초로 개발된 신약을 말합니다.

이러한 의약품은 질병 치료에 혁신적인 기여를 하며, 개발에는 평균 10~15년의 시간과 막대한 비용이 소요됩니다.

  • 기초 연구
    • 질병의 원인과 치료 표적(단백질, 유전자 등)을 탐색
    • 후보 물질(수천~수만 개)을 발굴
  • 전임상 시험
    • 동물과 세포 실험을 통해 안전성기초적인 약효 확인
  • 임상 시험 (사람 대상)
    • 1상: 안전성 중심 (건강한 사람 소수)
    • 2상: 효능·부작용 탐색 (환자 대상)
    • 3상: 대규모 환자 대상 최종 검증
  • 허가 신청 및 승인
    • 식약처(FDA 등) 등 규제 기관의 허가 획득
    • 제품 상용화 및 보험 등재 절차 진행

예시: 아스피린, 휴미라(Humira)

 

✅ 참고로, 오리지널 약은 특허로 최대 20년간 독점 판매할 수 있으며
그 기간이 지나면 제네릭 개발이 가능해집니다.

 

 

 

2️⃣ 개량신약 (Incrementally Modified Drug)

개량신약은 기존의 오리지널 의약품을 기반으로 구조나 제형, 용도 등을 개선하여 개발된 의약품입니다.

기존 약물의 단점을 보완하거나 새로운 효능을 추가하여 환자의 편의성과 치료 효과를 높입니다.

개량신약은 신약에 비해 임상시험 기간이 4~5년으로 짧고, 비용도 5분의 1 수준으로 비교적 적은 비용이 듭니다.

  • 개선 포인트 탐색
    • 오리지널 약의 문제점(예: 자주 복용해야 함, 부작용, 흡수율 낮음 등)을 분석합니다.
  • 구조 또는 제형 변경
    • 예: 염변경, 결정형 변경, 서방정으로 전환, 복합제(2개 성분 하나로)
  • 비임상/임상시험
    • 오리지널보다 간소화된 시험을 통해 동등성·개선 효과 확인
  • 식약처 허가 신청

개량신약은 '신약'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허가 시 일정 기간 보호(데이터 독점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개량신약의 종류

분류 기술 및 제품 예시 주요 특징
물질변형형 개량신약 New salt(신규염), prodrug or ester(프로드
또는 에스테르), new complex,
chelate, clathrate or solvate(새로운 복합
또는 용매화물), racemate or
enantiomer(라세메이트 또는 단일이성체),
신규 결정형(polymorphism), 대사체
(metabolite)
변형된 물질의 특성에 따라 기존 물질과 동등한 PK profile 나타내는 경우와 다른 PK profile 나타내는 경우가 있음
신규제제/제형
개량신약
Bioinequivalent formulation(서방 또는
제제),change in strength(고함량, 저함
), change in dosing regimen(: 1 3
à 1 1), change in dosage form or
route of administration(: 경구용 패취
),
동일용량, 동일 PK profile, 동일투여경로 등으로 제제화에 따른 부형제만 다른 경우는 제외
신규용도
개량신약
알려진 제품의 새로운 용도의 추가 새로운 용도에 대한 임상시험 필요. 미국에서는 신규용도에 대한 3년의 독점기간 부여
신규 복합제 개량신약 2개 이상의 약물 복합 (예: 혈압약+이뇨제) 복약 횟수 감소, 순응도 향상
기타 Rx-to-OTC, 새로운 생산법 (천연물, 유전자재조합 등) 기술 적용에 따라 규제 해석이 달라질 수 있음

 

🌟 개량신약의 장점 (예시)

 

✅ 복약 편의성 하루 3번 → 1번, 정제 → 패치 등으로 복용 간편화
✅ 부작용 감소 기존 약물의 위장 장애, 흡수율 문제 개선
✅ 복약 순응도 향상 복합제 등으로 약물 복용 횟수와 개수 감소
✅ 시장 차별화 제네릭과 차별화된 제품으로 경쟁력 확보
✅ 개발 비용 효율 오리지널 신약 대비 개발 기간·비용이 적음

 

3️⃣ 제네릭 의약품 (Generic Drug)

 

제네릭 의약품은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가 만료된 후 동일한 유효 성분과 효능을 갖도록 개발된 복제약입니다.

개발 비용이 낮아 가격이 저렴하며, 환자들에게 경제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합니다.

 

  • 오리지널 약(신약)과 동일한 성분, 동일한 용량, 동일한 투여 경로
  • 동등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과학적으로 입증된 의약품
  • 개발 및 제조는 다르지만, 환자 입장에서 동일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제네릭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1. 특허 만료된 오리지널 약물 정보 확인
  2. 동일한 유효성분과 제형으로 제조
  3.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 오리지널과 혈중 농도 곡선(AUC, Cmax 등)이 동일한지를 입증
  4. 식약처 허가 후 시판

 

왜 제네릭은 더 저렴할까?

항목 오리지널 제네릭
R&D 비용 수천억 원 거의 없음
임상시험 1상~3상 전부 필요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만 필요
특허 보호 있음 (최대 20년) 없음
가격 수준 높음 낮음 (오리지널의 30~60% 수준)
 

개발 비용이 적고, 특허 로열티가 없기 때문에 가격이 훨씬 저렴합니다.

 

🌟 제네릭의 장점과 한계

장점

비용 절감 동일 효과의 약을 더 저렴하게 공급
접근성 향상 환자와 보험자 부담 줄임
시장 경쟁 촉진 오리지널 제약사의 약가 인하 유도 가능

 

 

한계
복약 인식 외관, 이름이 달라 환자 혼동 가능성 있음
품질 편차 제조사에 따라 약간의 차이 존재할 수 있음 (법적 기준은 통과함)

 

 

 

💊 신약 · 개량신약 · 제네릭 의약품 비교표

구분 신약 개량신약 제네릭
허가 시 제출자료 품질시험자료
효능 및 독성시험 전체 임상시험
품질시험자료
효능 및 독성시험 일부
임상시험 일부 (비교임상, 비교생동 등)
품질시험자료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적용 규정 식약처 허가
안전성·유효성 심사 대상
우선 심사 대상
없음 식약처 허가
안전성·유효성 심사 대상
우선 심사 또는 신고 대상
개발 기간 10~15년 4~5년 2~3년
재심사 기간 6년 허가 유형에 따라 4년 또는 6년 없음 또는 일부 신고 대상은 3년 이하
약가 수준 가장 높음 (R&D 비용 반영) 중간 수준 (가치 개선 반영) 가장 낮음 (가격 경쟁력 확보)

 

 

🧭 결론

오리지널 의약품, 개량신약, 제네릭 의약품은 각각의 개발 방식과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환자와 의료진은 이를 고려하여 최적의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의약품의 다양성은 치료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이 의약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반응형